[인터뷰] 한국의 소리로 세계와 소통하는 대금 연주자 김혜림

The Korean bamboo flutist(taegŭm), Hyelim Kim

The Korean bamboo flutist(taegŭm), Hyelim Kim Source: Supplied

유럽에서 활동 중인 대금 연주자 김혜림이 판소리와 재즈를 접목시킨 호주 최고의 재즈 드러머 사이먼 바커 교수(시드니대학교)와 만나, 동 서양의 문화의 간극을 잇는 콜라보레이션 무대를 선보인다.


멜버른 아트 센터와 호주 아트 오케스트라 공동 주관으로 9월 22일 멜버른 소재 ‘더 파빌리온 아츠 센터(The Pavilion in Arts Centre)’ 펼쳐지는 ‘미팅 포인트(Meeting Points Series: Leaf and Shadow)’ 연주회에는 중요 무형문화재 판소리 이수자인 배일동 명창, 말레이시아의 바이올리니스트 페이 안 여, 트럼펫 및 전자악기의 피터 나이트도 함께 해 색다른 무대를 꾸민다.

‘미팅 포인트’라는 타이틀을 내건 이번 공연은 ‘국경을 뛰어넘은 음악과 과감한 변주곡 무대’를 통해 퓨전 식 한국의 전통 소리, 타악기 리듬, 실험적 재즈를 접목시키는 전례 없는 도전에 나선다

대금 연주자이자 작곡가 및 민족음악학 연구자인 김혜림은 한국의 전통 악기인 대금을 이용해 다양한 음악 문화와 교류하면서 한국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펼쳐 나가고 있다.

*김혜림 대금 연주자의 인터뷰 중에서*

갈대 속 살이 빚는 ‘청’의 소리  

저도 대금의 소리에 매료돼서 대금을 시작하게 됐는데, 대금에 특별한 소리가 있다면 저는 ‘청’을 꼽고 싶어요. ‘청’이라는 소리는 5월 달에 갈대를 채취해서 그 갈대의 속살을 대금의 구멍에 붙여서 불 때 나는 소리인데요. 그 소리가 마치 바람소리처럼 청아하고 맑아서 사람들이 그렇게 대금의 소리를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한 음을 한 생명처럼… ‘농음’

대금은 한국의 ‘농음’이라는 특별한 음색을 표현하게 되는데요. ‘농음’은… 그 뜻을 설명하자면 ‘음을 가지고 논다’라고 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 음악에서는 한 음을 한 생명처럼 다루게 되는데요. 그 생명의 굴곡진 삶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떠는 음, 미는 음, 끄는 음 등 다양한 기법을 필요로 하게 돼요. 그것을 전부 통틀어서 ‘농음’이라고 부릅니다.

사이먼 바커 교수와의 협업

호주에 교환학생으로 왔을 때 호주 음악에 대해 알고 싶었는데, 그때 사이먼 바커 교수를 만나게 되었고, 그 인연으로 앨범 작업도 같이 하고 (김혜림 1집 음반 ‘님’ 2011), 2018년에는 저의 독주회에 초대해서 함께 무대를 만들었었습니다. 그 일부로 ‘Out of Time’이라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기금을 받아서 앨범도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 음악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호흡을 이해하는 거예요. 서양에선 볼 수 없는 장단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미학이라고 볼 수 있는데, 사이먼 바커 교수님은 오랜 공부를 통해서 한국의 호흡을 이해하고 계세요. 그래서 함께 연주할 때, 한국적이지만 그리고 그렇지만 또 새로운 음악을 만들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곤 해요.        

[상단의 팟 캐스트를 통해 전체 내용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Share